코딩 관련

git 03. 최종정리

chocolang 2023. 11. 24. 10:28

깃허브에 대해서 다시 정리를 하면,

 

깃허브연결

1. 깃허브에 가입한다.

2. 내컴퓨터, 혹은 다른 지역에 있는 컴퓨터와 자신의 깃허브 연결설정:

    사용자이름과 이메일주소를 바탕으로 연결설정하기. 한번만 해놓으면 그 이후로는 다시 할 필요없죠.

 

그러므로 이 다음부터 내용이 실제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프로젝트와 깃허브연결

1. 내 프로젝트폴더에 들어가서, 프로픔트 창에 git init 을 하면

   내 프로젝트 폴더에   .git이라는 폴더가 생성되어서, 모든 것을 관리합니다.

   이 폴더는 vscode에서는 안나타나고, 윈도우의 일반 탐색창에 나타납니다.

  

    이런 초기설정은, 프롬프트창에서 git init으로 할 수도 있고,

    vscode에서 git로고를 누르고 'initialize Repository' 버튼을 눌러서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간혹 해당 버튼이 안 뜨고, 'open Repository'버튼이 나타날 경우도 있어요.

    그럴 경우에는 프롬프트 창에서 git init 명령으로 생성하세요.

 

2. 내가 작성한 내용을 .git에 일단 저장하고 싶으면 commit 명령을 내리는데,

    프롬프트 창에서 명령을 내리려면 타자쳐 넣어야 될 내용이 많아요.

(git add 넣을파일이름 식으로  stage라는 곳에 add를 하고,  다시 git commit -m 하고서 코맨트를 입력하고...)

 

    그러니, 그냥 vscode에서 하는 것이 편합니다. 

    단, 메시지를 넣어주어야 되요. 간단히 점 하나를 찍더라도 메시지를 쓰고, commit 명령단추를 누릅니다.

    메시지를 넣지 않고, commit명령을 누르면, 우측에 제발 메시지좀 넣으라는 페이지가 나타나고

    마치 고장난 것처럼 아무것도 안하고 여러분의 입력만 기다리고 있습니다. 그런데 처음에는 그게 입력 기다리는 줄

    누가 알겠어요? 

    거기에 메시지를 적고 save를 해야 commit명령이 수행됩니다.

 

    - commit 명령은 내 컴퓨터(로컬스토리지)의 .git 폴더에 저장하는 것입니다.

 

3. commit 명령 이후에, 원격저장소(github페이지)의 레포지토리에 저장하려면, push명령을 내려야 되요.

    그런데, 이것도 프롬프트명령으로 하려면 귀찮아요.

   (git push -u ogrigin main  이런 식으로 명령을 내려야 됩니다.)

 

    vscode에서 commit명령다음에 저절로 publish 버튼이 나옵니다.

    그걸 누르면 알아서 push가 됩니다. 

    push라고 하지 않고, publish, 혹은 Sync 라는 이름으로 버튼이름이 생성되는데,

   그 이유는, 다른 컴퓨터에서 내용을 수정한 것을 원격저장소에 올렸을 수도 있기 때문에,

   내가 push하면서, 한편으로는 새롭게 변한 내용을 내려받아서(pull) 알맞게 만들 필요가 있을 때는 sync 명령버튼이 생깁니다.

 

4. 복제하기

   프로젝트가 담길 루트 디렉토리(예를 들어,  chattingApp이라는 프로젝트를 내려받을 경우, flutter2023이라는 폴더 안에 만들고 싶다면, flutter2023 디렉토리)의 프롬프트 창에서

git init https://github.com/shanghanrun/chocolang.git

처럼 git init 뒤에 원하는 프로젝트의 레포지토리 주소를 붙여 넣고 명령을 내립니다.

그러면 해당 프로젝트가 다운받아져서 생성되는데,

 

이때

내가 만든 프로젝트를 복제한 경우에는 그냥 사용하면 되고,

 

만약 다른 사람이 만든 프로젝트를 복제한 경우라면, 윈도우탐색기로 해당 프로젝트로 들어가서 .git 폴더를 삭제합니다.

그리고, 다시 git init 명령을 내려서, 초기화 시킵니다(다른 사람의 깃과 연결 끊기)

 

 

이제 chcolang 을 복제하고, .git 폴더를 삭제하고, 

vscode로 chocolang 폴더를 열어서 들어가고,  git init으로 초기화 시키세요.

플러터 프로젝트 파일을 복제한 것이라면, 이제 pubspec.yaml 파일을 열고

ctrl+S 를 눌러서 저장하세요.  이렇게 하는 이유는 펍스팩에 적혀 있는 의존성패키지(dependencies)를 프로젝트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flutter pub get 이라는 명령을 내려야 됩니다. vscode에서는 펍스팩파일을 저장하면 이 명령이 저절로 실행됩니다.

이 명령을 내리지 않으면, 코드들에 에러가 엄청나게 많습니다. 패키지들을 이용해서 사용한 코드들이, 해당패키지를 인식못하니 에러가 났던 것입니다. 

 

 

5. 땡겨오기 (최신내용을 받아오기)

 

이미 원격저장소(원격 레포지토리)와 내 프로젝트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인데,

다른 곳에서 새롭게 데이터를 업데이트해서 push, 혹은 publish를 했는데,

그 내용을 내 컴퓨터에 반영하고 싶다면, 땡겨 와야죠. 

이때, 명령창에  git pull 하면 알아서 땡겨옵니다. 이미 해당프로젝트와 원격레포지토리가 연계되어 있으니까요.

vscode에서 마우스클릭으로 하려면, 메뉴를 찾아들어가서 누르고 해야 되므로 더 귀찮아요. 이건 그냥 명령창에서 git pull 하는게 더 편해요.

 

# 콘솔에서 명령할 것: git init,   git clone 깃레포지토리주소,   git pull

# 나머지는 vscode에서 버튼만 눌러서 하면 됨 (단 commit 할때는 간단한 메시지 넣을 것)

 

반응형
LIST